티스토리 뷰

목차



     

     

    <듄 : 파트 2> 등장인물 분석

    - 폴 무앗딥 우슬/아트레이데스(티모시 살라매)

    아트레이데스 가문의 후계자, 파트 1에서 하코넨 가문과 황제의 음모와 공격으로 아버지를 잃고 가문이 풍지박산 나지만, 사막으로 도망하여 프레멘 족에게로 피신합니다. 이방인이라는 프레맨들의 의심에도 불구하고, 남부출신 프레멘 리더인 스틸가의 메시아라는 맹복적인 믿음과 프레멘의  모든 것을 배우겠다는 진실성으로  챠니의 마음을 얻어 프레멘의 영웅이 되어갑니다. 리산 알 가입(프레멘의 메시아), 퀘사츠 헤더락(베네 게세리트가 궁극적으로 목표했던 미래와 과거를 모두 볼 수 있는 예언자이자 세계를 지배하는 자)이 될 수 밖에 없는 운명이 고통스럽게 그려집니다. 

    - 챠니 카인즈(젠데이아) 

    프레멘의 여전사이자 폴의 연인. 폴의 진정성을 보게 되면서 사막을 알려주고 프레멘이 되도록 이끌어줍니다. 스틸가를 비롯한 프레멘 족들이 메시아에 대해 비이성적인 믿음으로 판단하고 행동할때 의문을 제기하며 중심을 잡아주는 모습이 매우 인상적입니다. 여자도 똑같이 전사가 될 수 있고, 용기있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모습들이 당당하고 멋있게 그려져서 좋았습니다. 젠다이아의 화장끼 없는 얼굴이 더 예쁘고 매력적이어서 요즘 왜 대세배우인지 인정하게 됩니다.

    - 제시카 아트레이데스/레이디 제시카(레베카 페르구손)

    폴의 어머니이자 베네 게세리트인 레이디 제시카는 프레멘 리더 스틸가으로부터 프레멘 족의 대모가 되어주지 않으면 죽음 밖에 없다며 협박 아닌 협박을 받습니다. 어쩔수 없이 그 제안을 받아들이는 것 같지만, 레이디 제시카는 특유의 비범한 능력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프레멘들의 정신을 통제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를 이용합니다. 폴을 퀘사츠 헤더락으로 만들기 위한 상황들을 만들어갑니다. 1편의 왕후로서, 어머니로서의 다소 번민하고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2편에서는 냉철하고 강인하며 신비스로운 모습을 보여줍니다. 

    - 스틸가(하비에르 바르뎀)

    프레멘 전사들의 리더. 남부출신 프레멘으로서 메시아를 기다리는 종교적 신념으로 폴이 무앗딥 우슬이 되기까지 자리를 만들어주는 인물입니다. 1편에서 느낌은 프레멘의 강력하고 냉철한 지도자였는데, 2편에서는 다소 맹목적으로도 보일만큼 강한 종교적 신념에 따라 행동합니다. 하지만 부족 어르신들의 의견을 귀담아 들으면서 젊은 사람들에게는 자신의 신념을 강요하지 않는 점에서 꽤 괜찮으면서 비중있는 인물입니다. 

    - 페이드 로타 하코넨(오스틴 버틀러)

    하코넨 남작의 조카이자 하코넨 가문의 후계자입니다. 권력에의 야망을 갖고 사람은 수단 혹은 먹이?! 쯤으로 여기는 경악할만한 사이코패스입니다. 듄 : 파트 2에 새롭게 등장하며 강렬한 인상을 남깁니다.

    -블라디미르 하코넨 남작(스텔란 스카스카드)

    듄 1편에서 이미 익숙해져서 특유의 사이코틱하며 음산한 느낌은 없지만, 폴과의 의외의 연결점이 있고 또 최후가 있기에 주목해 봐야 할 인물입니다.

    -글로수 라반(데이브 바티스타)

    라반이 이끄는 하코넨 군대가 프레멘에 의해 박살이 나면서 하코넨 남작에게 폐기처분될 상황에 빠집니다. 라반의 허술함이 있기에 폴이 아라키스 사막에서 무아딧 우슬, 리산 알 가입이 될 수 있습니다. 

    - 거니 할렉(조시 브롤린)

    죽을 줄 알았던 아트레이더스 가문의 용감한 대장이 아라키스 사막의 밀수꾼으로 살아있었습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폴이 황제와의 대결전을 할 수 있는 비밀 무기를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 이룰란 코리노(플로렌스 퓨)

    사담 4세의 외동딸이자, 제국의 공주입니다. 유일한 후계자이기도 합니다. 객관적이고 판단력이 좋은 딸을 보며 황제가 타고난 통치자라고 칭찬합니다. 

    - 사담 4세(크리스토퍼 워컨)

    제국의 황제, 아들처럼 아꼈던 폴의 아버지인 아트레이더스 공작을 제거합니다. 공주의 기록엔 다른 때와 달리 오래도록 이 사건의 휴우증을 겪습니다. 후에 폴에게 아트레이더스 공작을 제거한 이유가 그가 나약해서였다고 하는데 역시나 못났습니다.

    - 마고트 펜링(레아 세두)

    짧은 등장이지만 역시나 꽤나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베네 게스리트입니다. 이들의 목적인 주요 대가문들의 유전자를 이용해 자신들의 세력을 유지하고 정신을 지배하는 의도가 다시 한번 보여지게 됩니다. 하코넨의 젊은 후계자인 페이드 로타에게 접근하여 대제국을 지배하게 될 차세대 리더감인지 시험하고 일거양득 그의 유전자 또한 잊지 않고 챙기는 인물입니다.

    -가이우스 헬렌 모히암 (샬럿 렘플링)

    베네 게세리트의 수장. 사담 4세 편에서 그들의 정신을 교묘히 조정하고 있습니다. 똑똑한 황녀조차 이들의 의도대로 따르고 움직일 수 밖에 없습니다. 이들의 보이지 않는 영적 싸움의 결과는 영화 마지막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듄의 세계관 : "스파이스를 지배하는 자가 우주를 지배한다"

    -스파이스 

    스파이스 멜란지란 물질은 듄의 세계에서는 가장 비싸고 강력한 물질입니다. 이 스파이스로 우주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예지력을 얻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니 이것이 곧 경제력이자 생명력입니다. 이를 지배하는 자가 우주전체를 지배하게 되니 아라키스 사막에서 생산되는 스파이스는 생존이자 권력인 것입니다.

    -베네 게세리트

    듄의 세계를 움직이는 숨은 힘은 베네 게세리트는 여성들로 구성된 종교적 집단입니다. 교육과 훈련으로 분자 단위의 신진대사 조절, 상대의 행동을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는 화술인 목소리 등의 초능력을 구사합니다. 지매들의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 여러 문명에 베네 게세리트 전설을 퍼트리기도 합니다. 이들의 작업중 하나가 보호 선교단이 아라키스 원주민들에게 퍼트려놓은 '리산 알 가입'에 대한 예언입니다. 따라서 이방인인 폴이 이들이 기다리는 메시아라고 기대하며 받아주게 되는 중요한 배경이 됩니다. 

    -퀴사츠 해더락

    베네 게세리트는 우성 유전자 조합을 통해 최종 계획인 퀴사츠 해더락, 더 높은 차원을 이해하는 정신적 능력을 타고난 남성입니다. 레이디 제시카가 레토 아트레이데스의 딸을 낳으라는 명령을 어기고 폴을 낳게 되는데, 원래의 계획은 그 딸과 하코넨 후계자 사이에 태어날 아들이 퀴사츠 해더락이 될 운명이었다고 합니다. 

    -모레 벌레(샤이 훌루드)

    프레멘어로 샤이 훌루드라 불리는 모래 벌레는 작게는 수백 미터, 크게는 2km에 달하는 거대한 모래벌레로 이 모래 벌레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이 바로 스파이스입니다. 듄 1편에서 이 모레벌레는 죽음을 상징적인 무서운 존재였는데, 2편에서는 프레멘과 폴이 갈고리 작살을 꽂아 넣고 운송수단으로 이용하는데 그 느낌이 사뭇 다릅니다. 

     

    드뇌 빌뇌브 감독

    1967년생이며 프랑스계 캐나다 출신의 영화감독.

    1998년 캐나다에서 <지구에서의 8월 32일>이라는 영화로 데뷔했습니다. 데뷔하자마자 칸 영화제 주목할만한 시선에 초청받는 등 나름 주목받으며 감독 생활을 시작했으나 2000년 <마엘스트룸> 이후로 한동안 영화를 찍지 못했다고 합니다. 9년이나 지나 <폴리테크닉>으로 돌아온 그는 후속작 <그을린 사랑>으로 국내외에서 주목을 받고, 휴잭맨, 제이크 질런홀 주역의 <프리즈너스>로 할리우드에 입성합니다. 2015년 <시카리오:암살자의 도시>를 연출하여 호평을 받았습니다. 2016년 <컨택트>, 2017년 <블레이드 러너 2049>을 연출했습니다. 압도적인 영상, 음악, 감독만의 작품세계관이 있어서 만드는 작품마다 흥행과는 별도로 특유의 미학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번의 듄 시리즈도 여느 SF 영화, 블록버스터 영화와는 속도와 전개 등 다른 색깔이 있습니다. 사실 그래서 즉각적인 흥미 면에서는 떨어질지도 모르지만, 개인적으로 더 궁금해지고 탐구하고 싶게 만드는 매력이 있습니다. 영화를 두번 세번 보고 싶게 만듭니다. 처음에 놓쳤던 영화 안에서의 장치, 의미를 발견하고프게 만드는 연출력이 돋보입니다. 드뇌 빌뇌브 감독의 작품들을 하나씩 들춰 보고픈 이유도 바로 이분이 만드는 영화는 빨간 맛은 아니지만 오래도록 음미하고픈 깊은 맛이 있을 거 같기 때문입니다.

    반응형